00MW 규모의 한림해상풍력이 10년 만에 착공될 전망이다. 업계는 기대 반 우려 반의 시선을 보내는 모양새다.
제주특별자치도청은 최근 제주시 한림읍 수원리 해상 일대에 조성 중인 제주한림해상풍력발전사업에 대한 ‘개발시행 승인’을 고시했다.
총사업비 5741억여원이 투입돼 2023년 6월까지 5.56MW 규모 풍력발전설비 18기를 조성하는 이번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사업으로 관심이 높다.
이번 개발시행 승인 고시는 사업 추진 10년 만에 한림해상풍력사업이 첫 삽을 뜨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는 게 업계의 반응이다.
지난 2011년 10월에 시작된 한림해상풍력발전사업은 5차례의 제주도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를 거친 끝에 2015년 간신히 위원회 승인을 얻었다. 그러나 도의회에서도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이 한 차례 보류되면서 2016년 2월 최종 통과됐다.
인허가 뿐 아니라 기자재 선정 과정에서도 정부와 대주주인 한전 간 이견이 발생하며 사업 추진은 더디게 진행됐다. 당초 외산 기종 터빈을 도입할 계획이었던 한전은 최종적으로 두산중공업 제품을 선택하며 논란을 종식시켰다.
우여곡절 끝에 최종 인허가까지 받아내며 10년 만에 첫 삽을 뜨게 됐지만 업계는 여전히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제주 내 풍력발전단지를 대상으로 한 출력제어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에너지공사는 제주도의 지난해 전력거래소 지령에 따라 총 46회의 풍력설비 출력제한을 시행한 바 있다. 2017년도 8회, 2018년도 7회 대비 몇 배는 늘어난 수치다. 제어된 총 발전량은 9223MWh로 전체 풍력설비의 1.6% 수준이다.
올해는 상황이 더 악화됐다. 지난 6월 기준으로 벌써 45회의 출력제어가 이뤄졌다. 상반기에 벌써 작년 출력제한 횟수를 따라잡은 것. 제어량은 1만3416MWh로 전체 설비의 4.14%로 늘었다.
이마저도 전력거래소가 기저발전의 최소발전용량을 낮추는 등 다양한 대책 마련을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확보한 결과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지난 6월 기준 제주도 내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풍력 292MW, 태양광 382MW로 총 674MW 수준이다. 제주 평균수요인 650MW를 뛰어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제대로 된 대책 없이 1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가 추가된다면 앞으로 출력제어가 더욱 심해질 것은 불 보듯 뻔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출력제어로 인해 한림해상풍력이 당초 계획한 만큼의 수익을 얻기 어려워지고, 회수기간도 당초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정부와 한전 등이 풍력발전의 수용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업계는 실효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단기적으로 한전이 육상에 조성된 화력발전소 주파수 조정용(FR)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가운데 40MW 정도를 제주도로 옮기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 전력거래소가 플러스 DR 등 다양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업계는 플러스 DR의 경우 이제 제도가 시작되는 만큼 당장 획기적인 성과물을 내기 어렵고, 출력제한 만큼의 용량을 확보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ESS 역시 단기적인 대책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데는 경제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대형설비인 풍력발전기의 출력제한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ESS 설비 역시 대형으로 보급돼야 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어중간한 용량으로는 간헐성 해소 용도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풍력설비의 출력제한을 막을 만큼의 ESS를 설치하려면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야 하는 만큼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으로 이 관계자는 전망했다.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다고 해도 아직까지 연구개발(R&D) 수준인 기술을 당장 현장에 투입하기는 쉽지 않다.
한전은 또 HVDC 제3연계선을 통해 제주도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 전력을 육송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 오는 2022년 10월까지 사업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제3연계선 역시 장기적인 대책은 되지 못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먼저 육지에서도 최근 전남 지역 등 재생에너지가 대거 확충되면서 남는 전력이 발생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지적이다. 결국 제주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까지 끌어올려야 하는데, 이를 위한 송전설비 건설도 쉽지 않다고 업계 한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문제없이 제3연결선로를 통한 육송 환경이 만들어지더라도 100MW 규모 대정해상풍력 뿐 아니라 135MW 표선‧하천‧세화2 해상풍력지구 등 앞으로 지어질 풍력발전설비만 654.2MW에 달하기 때문에 결국은 선로 용량 부족현상에 다시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1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가 조성된다고 해서 마냥 기뻐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라는 것.
업계는 해상풍력 활성화와 함께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정부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기존의 전력시스템을 손질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발전원만 추가하다보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과감한 전력망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당장 제주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곧 육지에서도 겪게 될 일인만큼 철저한 검증을 통해 실효성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