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통해

고객 센터

자료실

제목2025 상반기 국내 태양광 산업 동향 분석_수출입은행20235.06.192025-09-08 09:55
작성자 Level 10
2025년 상반기 국내 태양광 산업 동향 브리핑 문서

1. 주요 테마 요약

본 브리핑 문서는 2025년 상반기 국내 태양광 산업의 동향을 한국수출입은행의 2025년 6월 19일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합니다. 국내 태양광 시장은 신정부의 우호적인 신재생에너지 정책 기조와 RE100 수요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지만, 중국산 저가 제품의 시장 잠식과 수출 경쟁력 약화라는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관련 기술 개발 및 정책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2. 주요 내용 및 사실

2.1. 국내 태양광 시장 동향 및 전망

• 설치량 현황 및 전망:

    ◦ 2024년 국내 태양광 설치량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3.15GW를 기록했습니다.

    ◦ 2025년에는 약 3.0GW 내외로 설치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20년 약 4.7GW로 정점을 찍은 후 다소 감소했지만, 매년 3.0GW 수준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설치량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특히, 2025년 1~5월 신규 태양광 설비 설치량은 1.56GW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습니다.

• 성장 동력:

    ◦ "新정부 출범에 따른 우호적인 신재생e 정책 기조와 기업들의 RE100 수요 확대로, ’30년까지 설치량은 4GW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전력 수요 증가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태양광 발전의 간헐성 문제를 보완할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 실질적 확대를 위한 과제:

    ◦ "실질적 확대를 위해서는 ❶규제 완화, ➋인허가 절차 개선, ❸전력망 보강, ❹에너지저장장치 확대 정책* 등 제도적·인프라 기반 마련 병행 필요"합니다.

    ◦ 특히,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확대와함께, 차세대배터리(나트륨등)의개발을위한정책추진필요"합니다.

2.2. 태양광 산업 수출 동향 (2025.1.~5.)

• 폴리실리콘:

    ◦ 수출액은 34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9.1% 감소했습니다.

    ◦ "국내 폴리실리콘 공장 가동이 멈춤에 따라 폴리실리콘 수출은 감소 중이며, ’25년에도 국내 신규 건설 등의 계획이 없어 감소세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태양전지 및 모듈:

    ◦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9.1% 감소한 1,7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 "미국 IRA 이행으로 현지 생산이 확대되고, 유럽 수출경쟁력까지 약화되면서 수출 전반적인 부진 지속"되고 있습니다.

    ◦ "미국 대응을 위해 국내 공장 축소 및 가동 중단이 진행되었고, 이는 국내 태양광 산업의 경쟁력 약화 및 공급망 붕괴 위험으로 연결"됩니다.

2.3. 태양광 산업 수입 동향 (2025.1.~5.)

• 웨이퍼:

    ◦ 수입액은 470만 달러로, 2024년 대비 32.5% 감소했습니다.

    ◦ "중국산 웨이퍼 과잉 공급으로 웨이퍼 가격이 급락하여 수입액은 감소했으나, 용량 기준으로는 '24년 5월 대비 5.9% 증가"했습니다.

• 태양전지 및 모듈:

    ◦ 수입액은 1.35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5.8% 감소했습니다.

    ◦ "태양전지 및 모듈 가격이 전년 대비 크게 하락하며 금액 기준 수입액은 감소하였으나, 물량 기준으로는 전년 동월 대비 53.9% 증가"했습니다.

    ◦ "국내 시장 내 저가 중국산 제품이 확산되어 국산 제품의 입지 위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3. 시사점

• 정책 의존도 및 신정부 정책의 중요성: 태양광 수요는 정책 의존도가 높으며, 신정부의 우호적인 정책은 국내 태양광 산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규제 완화, 인허가 개선, 전력망 확충 없이는 실질적 성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 중국산 저가 제품의 위협: "중국산 저가 제품이 시장을 잠식 중이며, 국산 태양광 제품의 경쟁력 유지 및 공급망 보호를 위한 정책 필요"가 시급합니다.

• ESS 및 차세대 배터리 기술 확보: "태양광 발전의 간헐성 문제 해결을 위한 ESS 수요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리튬·나트륨 배터리 등 고도화된 저장 기술 확보가 중요"합니다.

4. 출처

• 2025년 상반기 국내 태양광 산업 동향 (한국수출입은행, 2025. 6. 19.)

• EMBER 월간 발전데이터 (EMBER, 2024. 1.~2025. 4.)

 태양광 힘입어…국내 화석연료 발전 비중 첫 50% 밑으로 (한경BUSINESS, 2025. 7. 2.)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