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태양의 도시, 서울’ 이후 보다 효율적인 태양광 설비 확보에 집중한다.
사실상 도심지에서는 태양광 설치가 어려운 현 상황에서 건물일체형태양광(BIPV) 활용과 유휴부지 발굴을 통한 공공부지 태양광 사업은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한 새로운 ‘도심형 태양광’의 트렌드를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판 그린뉴딜’을 제안하고 2022년까지 2조6000억원을 투입해 수송, 건축물, 폐기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경제 사회로의 대전환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에는 지난 2017년부터 ‘태양의 도시, 서울’이라는 비전 아래 서울시가 야심차게 시행해 온 태양광 사업에 대한 미래비전도 담겼다. 서울시는 ‘태양의 도시, 서울’ 계획을 통해 태양광에 특화된 도시를 만들어나가고 있다. 지난해까지 누적보급용량 250.1MW를 달성했고 태양광 미니발전소도 28만5000가구에 도입한 상태다.
기에 더해 서울시는 태양광 보급의 확대를 위해 도시기반시설 등 설치가능 공간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한편 BIPV 보급 활성화와 태양광 신기술 지원 등 정책적 실행과제를 내놓았다.
업계 한 전문가는 서울시의 이번 정책이 ‘공간 효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분석했다.
그동안 태양광 설치장소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서울시가 건물이 빼곡한 도시 형태에 알맞은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공간 효율을 높이는 모델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
대표적인 케이스가 최근 태양광 업계의 트렌드 중 하나로 꼽히는 BIPV에 대한 지원 강화다.
BIPV는 태양광 모듈을 건축물 외벽에 설치함으로써 건축 부자재의 역할과 함께 전력생산 기능까지 갖추게끔 한 설비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장치라고 하면 검은색 패널이 지지대 위에 설치된 모습을 떠올리지만 BIPV는 일반 태양광 모듈보다 디자인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외벽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에는 옥상에만 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다는 통념을 깼다.
서울시는 BIPV를 통해 도심형 태양광의 한계를 돌파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올해부터 민간 건물에 BIPV를 설치할 경우 시 보조금을 최고 80%까지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비 총 10억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이번 서울판 그린뉴딜을 통해 2022년까지 BIPV에 대한 지원규모를 120억원으로 확대해 보급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특히 보조금 지원 대상을 기존 옥상·지붕에서 지상·벽면 등 모든 공간으로 더욱 확대해 인센티브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서울판 그린뉴딜에 포함된 제로에너지빌딩(ZEB)의 민간 부문 의무화도 BIPV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BIPV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책도 마련했다. 서울시는 BIPV 지원정책과 함께 ‘서울시 신재생 에너지 생산량 산정 지침’을 개정하고 BIPV 관련 제도를 손질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서울시의 신재생 에너지 의무이행여부는 발전 효율만 평가된 탓에 발전 효율은 높아도 외관이 투박한 일반결정형 BIPV가 주로 사용됐다는 게 서울시 측의 설명이다. 대부분 강화유리로 된 외피에 색을 넣으면 그만큼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평가에서는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것.
이와 관련 설치 면적 기준을 평가에 신설해 다양한 형태의 BIPV가 도입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다.
서울시는 또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위한 공공부지 도출에 역량을 집중한다.
서울판 그린뉴딜에는 태양광 탐사대를 운영해 설치 가능 부지를 지속 발굴해나간다는 대책이 담겼다. 이를 통해 모든 시민이 태양광 부지를 발굴할 수 있도록 콜센터와 온라인 업무 창구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도시기반시설, 전통시장 등 설치 가능 공공부지도 더욱 확대키로 했다.
서울시는 이미 도시철도 차량기지를 비롯해 강변북로 등 다양한 공공부지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한 바 있다. 올해도 도시철도 차량기지에 총 3MW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짓고 있거나, 지을 계획이다. 태양의 도로라는 이름 아래 강변북로 유휴부지 태양광 사업 역시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라는 게 서울시 측의 설명이다.
사실상 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는 모든 공공부지를 발굴해 태양의 도시 계획의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것.
이 같은 서울시의 태양광 대책은 부지 마련에 골치를 썩고 있는 타 지자체들에게 모범사례로 남을 전망이다. 산지가 많고, 대부분 도시가 건물로 가득 찬 한국 지형 특성상 유럽이나 미국, 일본과 같은 국가들과는 다른 도심형 태양광 모델을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원전중심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청정에너지 시대를 열겠다”며 “상·하수도시설, 도시철도시설을 비롯해 모든 공공시설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선도적으로 설치하고 바이오가스, 소각열 등 다양한 도시 미활용 에너지 자원의 활용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